지금은 반려동물 전성시대, 펫코노미(Petconomy)의 성장
최근 몇 년 사이에 사회는 많이 변했습니다만 그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바로 반려동물의 급격한 증가일 것입니다. 반려견과 반려묘로 대표되는 반려동물이 증가하게 된 원인에는 1인 가구의 증가, 출산 기피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TV를 틀면 “개는 훌륭하다”라거나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와 같이 반려견들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프로그램들이 앞다투어 방영하고 있습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DOG TV라는 채널은 아예 사람이 아니라 반려동물을 위한 TV 채널입니다.
또한 보험사들은 너나할것없이 반려보험상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장의사라는 직업은 불과 몇 년전만 해도 매우 생소했습니다. 마트에 가면 반려동물을 위한 물품들이 큰 칸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역사가 존재한 순간부터 아마 지금이 반려동물 최고의 전성시대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런 사회 변화에 따라 펫코노미(Petconomy)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펫코노미란 pet과 economy를 합친 신조어로, 반려동물의 증가에 따라 관련된 산업과 시장을 일컫는 말입니다. 전통적으로 반려동물과 관련한 것은 단순히 사료, 동물병원 등을 떠올렸으나 지금은 펫 호텔, 펫 보험, 펫 테라피스트 등 다양한 관련 산업이 생겨나고 있고 또 확대될 전망입니다.
펫테크(Pet Technology, 펫테크놀로지)의 발전
이와 관련하여 펫테크라는 신조어도 있습니다. 펫테크는 2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첫 번째는 pet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반려동물을 이용한 재테크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의미는 pet과 기술을 뜻하는 techonology의 합성어로 반려동물을 위한 IT 기술과 산업의 발전을 뜻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두 번째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펫테크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펫테크가 발전한 것은 앞서 말한 1인 가구의 증가 등과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은 늘어났으나 이를 거꾸로 말하면 혼자 시간을 보내야 하는 반려동물이 많아졌음을 의미합니다. 필자 또한 때때로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만 제가 직장에 가 있는 동안
혼자 집에 방치해두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키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펫테크는 바로 이런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IT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사람이 직접 돌보지 않아도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고 돌봐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미 시중에는 이와 관련한 많은 제품이 출시되고 있고, 펫테크 산업에 뛰어든 IT 회사들도 많습니다. 전문가들은 펫테크 시장이 향후 꾸준히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주로 음식, 놀이와 관련된 기초적인 단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반려동물에게 정량의 사료를 먹이는 자동급식기라거나 집을 비울 때 반려동물과 놀아주는 인공지능 로봇 장난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여 반려동물의 기분을 파악하게 해주는 장치 등이 주를 이룹니다. 이것은 분명히 향후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발달, AR, VR 등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어 상상도 하지 못할 대단한 발전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본연의 목적을 잃지 말아야
펫테크는 반려인들과 반려동물들에게 커다란 선물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오랜 시간 동안 외출할 일이 있을 때 반려동물의 정서를 안정시켜주고 반려동물과 신나게 놀아주고, 끼니를 챙겨주고, 아플 때 돌봐줄 수 있는 인공지능이 있다면 우리는 걱정없이 늦게까지 외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처럼 펫테크의 발전은 자칫하면 반려동물과 보내는 시간을 점점 줄어들게 할 여지가 있습니다. 굳이 내가 없어도 반려동물은 부족함이 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인간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본연의 목적은 과연 무엇일까요? 부모가 자식을 키우는 과정은 때때로 기쁘고 때때로 힘든 시간이 따르며 그 과정에서 사랑이 깊어집니다. 우리가 보고싶을 때, 놀아주고 싶을 때만 반려동물을 찾게 되는건 아닐까요? 자칫하면 펫테크는 인간의 이기심을 불러일으켜서 반려동물과 정서적 교감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퇴색하게 되는 도구로 전락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펫테크 성장 그 이면에 감춰진 불편한 진실을 우리는 잊지 않아야 합니다.
'4.IT > 4-1.IT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 공부, 유튜브로 하기 (코딩 유튜브, 코딩 유튜버 추천) (1) | 2020.07.26 |
---|---|
크롬 다크모드 (4) | 2020.07.25 |
PoW, PoS, DPoS란? (암호화폐 합의 알고리즘) (4) | 2020.06.11 |
2020년 10대 IT 기술 트렌드(Gartner) (2) | 2020.05.14 |
게임으로 병을 치료한다고? 디지털 테라퓨틱스(digital therapeutics) (9) | 2020.05.11 |
최근댓글